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정월 대보름에 먹는 음식과 놀이 정월 대보름의 풍습

by 하댄 2023. 1. 9.
반응형

 

 

정월대보름은 우리나라 명절 중의 하나로 설날부터 대보름까지 15일 간 잔치처럼 크게 지냈던 명절입니다.

아침에 호두나 잣 등 부럼 깨기를 하고 귀밝이술을 마시며 오곡밥을 지어먹으며 한 해 동안의 건강과 소원을 빌고 풍년을 기원하는 놀이와 행사를 하면 지냈습니다.

 

 

정월 대보름 유래와 풍속

 

① 유래

음력 1월 15일인 정월대보름은 한 해의 첫 보름달이 뜨는 날로 대보름의 달이 액운과 질병 등을 막아 사람들을 재앙으로부터 지켜주고 달을 풍요의 상징으로 여겨 풍년을 기원하는 동제를 지내는데서 유래되었습니다.

 

 

② 풍속

정월대보름 전날 밤에는 아이들이 집집마다 밥을 얻으러 다녔고 이 날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샌다고 하여 잠을 자지 않고 밤을 새웠습니다.

 

아침이 되면 부럼 깨기와 귀밝이술을 마시고 오곡밥을 먹었으며 이웃이나 친구를 찾아가 이름을 부르고 더위를 팔기도 합니다.

 

낮에는 연을 날리다가 액운과 함께 멀리 날아가라고 줄을 끊어 버리고 자정에 이르러서는 쥐불놀이와 달집 태우기를 하며 풍년을 기원하며 정월대보름의 행사를 마칩니다. 

 

 

 

 

정월대보름에 먹는 음식

 

대보름에는 겨울철에 구할 수 있는 음식 재료를 모두 구해 온갖 음식을 많이 해 먹으며 지내는데 이는 곧 다가올 바쁜 농사철을 대비하여 영양 보충을 해서 건강을 지키자는 뜻이 있었을 것입니다.

 

▶ 오곡밥

찹쌀, 수수, 콩, 팥, 기장 등 다섯 가지의 곡식으로 밥을 지어 오곡밥을 먹으며 한 해의 액운과 재앙을 막고 건강과 풍년을 기원했다고 합니다.

 

 

▶ 약밥

서민들이 오곡밥을 먹었다면 궁이나 사대부에서는 찰밥에 대추, 밤, 잣 등을 넣고 꿀과 간장, 참기름을 섞어 만든 약밥을 먹으며 건강과 복을 기원했다고 합니다.

 

 

▶ 묵은 나물

대보름에는 말려서 저장해 두었던 나물들을 물에 불려 오곡밥과 함께 반찬으로 해 먹었습니다.

묵은 나물로는 버섯, 순무, 박나물, 콩나무순, 오이, 가지 등 열아홉 가지를 준비한다고 합니다.

 

 

▶ 귀밝이 술

아침에 찬 술을 마시는 관습으로 술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귓병에 걸리지 않으며 한 해동안 좋은 소식만 듣는다는 희망을 준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반응형

 

▶ 부럼

대보름 아침에 호두, 잣 등 부럼을  깨물어 먹으며 건강과 복을 기원하는 관습으로 한 해동안 이도 튼튼해지고 부스럼이 나지 않기를 바라는 것입니다.

 

 

 

정월대보름에 하는 놀이

 

정월대보름에는 한 해 농사의 풍년과 복을 기원하며 여러 가지 행사와 다양한 놀이를 했습니다.

 

▶ 쥐불놀이

논둑과 밭둑에 짚을 놓고 해가 지면 쥐불을 놓는데 이는 겨울을 지낸 들쥐나 메뚜기, 각종 병해충들과 알을 낳아 놓은 잡초와 쥐구멍, 해충 서식지를 태워 농사에 유익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놀이입니다.

또한 잡귀를 쫓고 새로운 봄을 맞이한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 달집 태우기

짚단과 나무 가지를 쌓아 달집을 만들고 불에 태우며 풍년을 기원하는 놀이로 달집에 붙은 불이 활활 잘 타오를수록 풍년이 될 징조라고 여겼습니다.

 

 

▶ 달맞이

초저녁에 달을 맞이하며 보름달이 떴을 때 소원을 비는 풍습입니다.

 

 

▶ 다리밟기

정월대보름 밤에 다리를 밟으면 다리가 튼튼해지고 다리병을 앓지 않는다고 하며 답교 또는 답교놀이라고도 합니다.

 

 

▶ 액막이 연

설날에 연날리기를 하는데 그 연을 정월대보름이 되면 줄을 끊어 액운과 함께 멀리 날려 보내는 것입니다.

정월대보름 이후에 연날리기를 하면 액운이 돌아와서 연날리기를 하면 안 된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대보름 이후에는 농사준비로 바쁘기 때문일 것입니다. 

 

 

▶ 더위 팔기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고 건강하기를 기원하는 관습으로 아침에 친구나 이웃을 찾아가 이름을 부르고 상대방이 대답을 하면 "내 더위 사가라" 하며 외치는데 상대방이 먼저 알아차리고 대답 대신 "내 더위 사가라" 하면 오히려 그 더위를 사게 되는 놀이입니다.   

 

 

반응형

댓글